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

청명, 한식과 식목일과 겹치기도 하는 한 해 농사를 점쳤던 24절기중 하나 한식과 식목일과 겹치기도 하는 한 해 농사를 점치던 봄의 청명 24절기 중 하나인 청명은 봄의 계절에 속하는 다섯 번째 절기로 매년 4월 4일과 4월 5일 사이가 되는데 이 날은 한식과 식목일과 같은 날에 겹치기도 하는 날로 우리 선조들은 청명 또는 한식의 날씨를 보고 한 해의 농사가 잘 될지 잘 되지 않을지를 점쳤다고 합니다. 청명이란 절기는 봄이라는 계절에 걸맞게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라는 뜻을 지닌 말인데요. 이 날은 과거 우리 조상들에게는 특별한 날이었다고 하죠. 청명에는 비로소 논과 밭에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해 미로소 논농사의 준비를 하기 시작하기도 했으며 이 날에는 자신의 아이를 위해 '내 나무'라는 나무를 심어 향후 아이가 성장해 결혼을 할 때 이 '내 나무'를 잘라 '농'을 만들었.. 2021. 3. 3.
춘분 이야기, 서양의 부활절 그리고 계란 세우기 가능한 날 춘분 서양의 부활절 그리고 계란 세우기 가능한 날 24절기중 하나인 춘분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날로 서양에서는 춘분을 기점으로 부활절은 정해 이날을 중요시 여겼는데, 여기에 이날은 중력이 고르게 분포되기 때문에 1년 중 계란을 세우기 가능한 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합니다. 춘분은 24절기 중에서 봄 중 경칩 다음에 오는 절기로 3월 20일이나 3월 21일 경에 오는 날인데요. 우리 조상들은 이날에 밭을 갈며 담벼락을 고치고 나물을 캐서 먹었다고 하며 이집트를 비롯한 드루이드와 켈트 등 고대 대부분의 문명에서도 이날을 날짜의 기준이 되는 날로 삼았다고 알려져 있죠. 여기에 천문학에서도 춘분의 밤하늘을 기준으로 삼아 좌표계인 적도 좌표계의 기준점으로 관측을 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21. 3. 2.
24절기는 음력 기준일까? 양력 기준일까? 농경사회 농사를 지을 때 유용했던 24절기는 양력이 기준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지을 때 유용했던 것으로 알려진 24절기는 달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는 음력일까요? 아니면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는 양력일까요? 이에 대한 정답은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는 양력이라고 합니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이 질문에 대하여 이 24절기가 동양 문화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음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사실은 이와 반대로 양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고 하죠. 24절기는 농경사회를 기준으로 유용하게 사용되었는데 중국 화북지방을 시작으로 했기 때문에 중국 화북지방의 기후에 맞춰져 있으며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되었습니다. 24절기는 왜 음력이 아닌 양력을 기준으로 했을까? 달의 변화로 날짜를 .. 2021. 3. 1.
경칩, 조선시대의 '발렌타인데이'이자 '화이트데이'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인 경칩, 조선시대에는 '밸런타인데이'이자 '화이트데이' 24절기 중의 하나로 혹 톡 하게 추운 겨울에 개구리나 곤충 등이 겨울을 나기 위해 땅속에서 잠을 자다가 깨어나는 시기로 알려진 경칩이 조선시대에는 지금의 '밸런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의 역할을 했던 날이 었다는 걸 알고 계신가요? 경칩은 24절기의 3번째 절기로 우수와 춘분 사이 양력으로는 3월 5일쯤 되는 날로 개구리 알을 먹는 풍습이 있는 날이기도 한데요. 개구리 알을 먹는 이유로는 겨울잠에서 깨어난 개구리가 번식을 위해 알을 낳게 되는데 이 개구리알을 먹으면 허약한 몸을 보할 수 있고 허리 통증에 좋다는 속설이 있어서죠. 물론 지금은 개구리알이 아니어도 몸보신을 할 만한 음식들이 많기 때문에 굳이 낯선 개구.. 2021.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