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본격적인 농사 시작을 알리는 절기인 '곡우'의 속담 그리고 풍습과 음식

식빵먹는우유 2021. 3. 6. 09:03

못자리의 모습
못자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4절기 중 봄의 마지막 절기 '곡우'에 중요한 못자리와 속담

 '곡우'는 24절기 중 청명의 다음으로 오는 계절 '봄의 마지막 절기'로 4월 20일을 전후를 말하는데, 이 날은 본격적인 농사 시작을 알리는 날로 과거 우리 조상들은 이날에 못자리를 하며 이와 관련된 독특한 풍습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기에 맞는 음식을 즐기기도 했습니다.
 24절기 중 '청명'과 '입하' 사이에 있는 '곡우'에는 벼농사를 짓기 위해 볍씨를 담그고 모를 기르기 위해서 시설을 갖추어 놓은 못자리를 깔게 되는데 못자리를 만들 때는 물이 많이 필요하죠. '곡우(穀雨)'라는 이름 자체가 '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요. 시기상으로 못자리를 하는 데 있어 '곡우'가 가장 적합하다고 해 이와 관련해 속담까지 전해집니다.

 

'곡우'의 속담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 든다.
: 곡우에 비가 오면 못자리 물로 쓰기 좋기 때문에 풍년이 들게 된다는 속담. 곡우는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이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 곡우에 가뭄이 들면 그 해 농사에 치명적이라는 뜻이다. 곡우 무렵에 파종을 하게 되는데, 이때 비가 안 오면 파종한 씨앗이 싹이 트지 않게 되어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곡우에는 못자리를 해야 한다.
: 곡우(穀雨)에는 못자리를 해야 농사 일정에 어그러짐이 없어 추수할 때 많은 수확을 기대할 수 있다는 말.

출처 : 네이버 지식 백과

 

본격적인 농사 시작을 알리는 '곡우'의 풍습과 음식

 못자리를 까는 중요한 날이었던 '곡우'에는 여러 풍습이 있었습니다. 못자리는 우리의 주식인 쌀을 생산하는 데 있어 중요한 만큼 못자리를 만들 때 우리 조상들은 신중을 기했다고 하는데요. 이에 액운이 끼어있는 사람이 볍씨에 안 좋은 영향을 주지 않도록 볍씨를 못 보게 가마니를 솔가지로 덮어 두기도 했으며 만약 부정한 것을 보거나 당했을 경우에는 집 앞에 불을 놓아서 악귀를 몰아낸 후 집에 들어갔는데 집에 들어가서도 볍씨는 보지 않았다고 하죠.
 심지어 경북 지역에서는 이날에 부부가 잠자리도 함께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이는 이날에 부부가 잠자리를 같이하면 토신(土神)이 질투해 농사를 망친다고 믿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곡우물을 통에 담는 모습
곡우의 풍습 곡우물


 '곡우'의 무렵에는 나무에 안에 있는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로 알려져 있어 이때에는 '곡우물'을 먹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여기서 '곡우물'이란 자작나무나 산다래, 박달나무 등에 상처를 내 그 나무의 상처에서 나오는 수액을 말하는 것으로 위장병과 신경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곡우물'은 '남자 물'이라고 해서 여자들에게 더 좋다고 알려져 있죠. 이중 자작나무의 수액은 지리산 등지에서 많이 나오며 이곳에서는 '곡우'에 약수제까지 지낸다고 합니다.


'곡우'의 음식

 '곡우'에는 지역마다 시기에 맞는 음식을 즐기기도 했죠. 경기도 김포에서는 이 날 나물을 장만해서 먹었으며 경북 구미에서는 목화씨를 뿌리며 파종하는 목화씨가 질기게 오래 살라고 찰밥을 지어먹기도 했다고 합니다. 또 이무렵에는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난 연하고 맛있는 조기인 곡우사를 많이 잡았으며, 함경남도 용흥강에는 살찐 숭어들을 비롯해 물고기들이 산란기를 맞아 떼를 지어 몰려왔다고 하는데 이때 물고기들을 잡아서 먹으며 '곡우'를 즐겼다고 하니 이날은  농업을 떠나 물고기를 낚아 생계를 이어가던 이들에게도 중요한 날이었던 것 같습니다.

 24절기 중 '곡우'에는 나쁜 것을 보지도 않고 심지어 부부의 잠자리도 피하는 풍습만  보아도 과거 우리 조상들이 이날을 얼마나 중요시했는지 알 수 있을 듯한데요. 못자리를 하는 시기로 중요했던 시기인 '곡우', 이 시기에는 신기하게도 한반도에 거의 대부분 비가 내린다고 하죠. 시작이 중요한 만큼 우리 조상들은 이 시기에 맞춰 농사를 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떻게 이 시기에 맞춰 못자리를 시작했는지 조상들의 지혜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올해 곡우에도 비가 내릴까요? 한번 지켜봐야겠네요.

 

관련 포스팅

'곡우'의 이전 절기인 청명, 한식과 식목일과 겹치기도 하는 한 해 농사를 점쳤던 24절기 중 하나

 

청명, 한식과 식목일과 겹치기도 하는 한 해 농사를 점쳤던 24절기중 하나

한식과 식목일과 겹치기도 하는 한 해 농사를 점치던 봄의 청명  24절기 중 하나인 청명은 봄의 계절에 속하는 다섯 번째 절기로 매년 4월 4일과 4월 5일 사이가 되는데 이 날은 한식과 식목

ohisseu.tistory.com

24절기는 음력 기준일까? 양력 기준일까?

 

24절기는 음력 기준일까? 양력 기준일까?

농경사회 농사를 지을 때 유용했던 24절기는 양력이 기준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지을 때 유용했던 것으로 알려진 24절기는 달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는 음력일까요? 아니면 태양의 움직임을

ohisseu.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