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인 입하(立夏)는 곡우와 소만 사이에 들어오는 날로 태양의 황경이 45도 일 때를 말하는 날입니다. 양력으로는 5월 5~6일에 해당돼 어린이날과 겹치기도 하는 이날은 일반적으로 이 때는 음력 4월에 해당돼 아직 봄의 기운이 남아있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입하부터 입추까지를 여름으로 보기 때문에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날로 보고 있습니다.
입하와 관련된 속담으로는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가 있습니다.
'입하'의 속담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
: 입하(立夏)에 바람이 불면 못자리에 뿌려놓은 볍씨가 한쪽으로 몰리게 되어 좋지 않다는 뜻.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
: 입하(立夏) 무렵에 모심기가 시작되므로 농가에서는 써레를 싣고 논으로 나오게 된다는 뜻.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입하의 풍습
일반적으로 어린이날을 생각해보면 어린이날 즈음의 풍경은 나무들의 잎이 풍성해지기 시작하죠. 초여름의 날씨를 보이기도 하는 절기인 입춘에는 예부터 청개구리가 울고 지렁이가 땅에서 나와 꿈틀거리며 쥐참외라고도 불리는 왕과(王瓜)가 나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예로부터 이때는 산과 들판의 나뭇잎이나 풀잎들이 신록으로 물들기 시작해 곡우 때 마련해 두었던 못자리가 자리를 잡기 시작, 농사일이 본격적으로 바빠지는 날로 알려져 있는데요.
관련 포스팅
본격적인 농사 시작을 알리는 절기인 '곡우'의 속담 그리고 풍습과 음식
이 시기의 풍습으로는 한 해의 풍흉을 예측하는 풍속을 행하기도 했는데 이는 농사일을 본격적으로 바빠지는 시기에 때때로 산간지방에는 우박이 내리기도 해 어린 식물들이 피해를 보기도 하고 높새바람의 영향에 의해 농작물이 말라버리기도 했기 때문이죠. 이때 마을에 있는 이팝나무의 흰 꽃이 한꺼번에 피어나게 될 경우 풍년이라고 예상을 하였고 그렇지 않다면 흉년이 든다고 여겼다 합니다. 또 입하에는 들판에 온갖 나물들이 돋아나기도 해 우리 선조들은 쑥을 뜯어서 쌀가루와 한데 버무린 후 시루에 쪄서 먹는 떡인 쑥버무리를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농사일이 본격적으로 바빠지는 만큼 집집마다 색다른 음식들을 마련해 농사일을 하는 사람들의 입맛을 돋우기도 했다 합니다.
가장 좋은 차를 생산하는 시기인 입하
잎들이 풍성해지는 입하에는 찻잎을 따는 시기로 분류하는 대차 또는 두물차, 입 하차가 유명한 시기인데요. 입 하차는 입하에 맞춰 찻잎을 딴 고급차로, 일반적으로는 곡우에 딴 찻잎을 따 만든 차가 가장 고가의 고급차로 알려져 있으나 '동다송(東茶頌)'을 저술해 '다도(茶道)'를 정립한 '초의선사(草衣禪師)'는 한국차의 경우에는 곡우에 찻잎을 딴 차보다 입하에 찻잎을 딴 차가 더 좋다고 평가했다 합니다.
이 밖에 고급 찻잎을 따는 시기인 입하를 두고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의미로 맥추(麥秋), 맥량(麥凉)이라 부르기도 했다 하네요.
양력임에도 입하의 날짜가 해마다 다른 이유
오늘은 여름의 시작이자 어린이날과 겹치기도 하는 양력으로 5월 5~6일인 24절기 입하(立夏)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입하는 양력인데 왜 날짜가 딱 떨어지지 않고 5월 5~6일 인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을 듯합니다.
양력인데도 날짜가 딱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지구가 태양을 회전하는 주기인 공전의 궤도가 원형이 아닌 타원형이기 때문인데요. 공전 주기인 360도를 15씩 24 등분한 24절기가 타원형인 공전궤도 때문에 15도씩 이동할 때 시간차가 발생해 이동하는 시간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겁니다. 이는 입하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24절기에도 적용이 돼 해가 바뀔 때마다 날짜가 바뀌니 이점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관련 포스팅
24절기는 음력 기준일까? 양력 기준일까?
농경사회 농사를 지을 때 유용했던 24절기는 양력이 기준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지을 때 유용했던 것으로 알려진 24절기는 달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는 음력일까요? 아니면 태양의 움직임을
ohisseu.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