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중 모내기와 보리 베기에 알맞은 시기인 망종과 현충일
24절기 중 여름에 있는 망종(芒種)은 태양의 황경이 75도가 되는 때로 소만과 하지 사이에 있는 절기인데요. 이 시기에는 모내기와 보리베기에 알맞았으며 양력으로 6월 6일경에 들어 호국영령의 위훈을 추모하는 현충일과 겹치곤 합니다.
모내기와 보리 베기에 알맞은 바쁜 절기 망종
망종(芒種)은 벼나 보리처럼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씨앗을 뿌리는데 적당한 시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 시기는 모내기와 보리 베기가 겹쳐지는 무렵으로 관련된 속담으로는 '보리는 망종 삼 일 전까지 베라.'는 말이 있는데, 이 속담의 뜻은 망종이 벼를 심는 모내기를 하기에 적당한 시기이기 때문에 벼를 심기 위해 망종까지 보리를 모두 베어야 한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보리 베기를 한 후 모내기도 해야 하는 만큼 이 시기는 일 년 중 가장 바쁜 때였다고 하는데 이를 빗대어 '망종에 발등에 오줌 싼다'라는 속담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현충일을 망종과 겹쳐지는 6월 6일로 정한 이유
망종은 매년 양력으로 6월 6월 즈음에 자리를 하는데요. 양력 6월 6일은 호국영령의 위훈을 추모하는 국가 추념일인 현충일이죠. 현충일이 망종과 겹쳐지는 날로 지정된 이유와 관련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현충일이 이 날로 지정이 된 것과 관련된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예로부터 손이 없는 청명과 한식에 각각 사초(莎草), 성묘(省墓)를 하며 망종에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전해져 내려왔다고
하는데, 현충일이 지정된 하나의 설로는 고려 현종 때 거란과의 전쟁에 의해 희생된 군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망종에 제사를 지내는 풍습을 따라 그 날을 현충일로 지정했다는 설이 있으며 또 다른 설로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가장 큰 국난이었던 6월 25일에 벌어진 한국 전쟁을 상기하고 망종에 제사를 지내는 풍습을 따른 것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두 가지 설의 경우 추모하고자 하는 전쟁은 다르나 6월 6일 즈음 자리하는 망종의 풍습을 따른다는 공통점이 있네요.
망종의 풍속 '망종 보기'
망종(芒種)에는 망종의 시기에 따라 그 해의 농사가 풍년 일지 흉년 일지를 점치는 풍속이 있었는데 이를 두고 '망종 보기'라 하였습니다. '망종 보기'는 망종이 음력으로 4월에 오면 보리농사가 잘 돼 보리 수확을 빨리 할 수 있으나 5월에 오면 그 해의 보리농사가 늦어 망종 내에 보리농사를 할 수 없어 나쁘다고 한 거죠. 그리고 충남과 전남, 제주도 지방에서는 이 시기에 하늘에서 천둥이 치면 그해의 농사가 시원치 않다고 믿었다 하네요.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에 해당하는 망종은 보리 베기를 한 후 밭을 다시 갈고 벼를 심는 모내기를 하는 시기로 정말 바쁜 시기였다는 걸 알 수 있었는데요. 이 시기는 바쁘면서도 나라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추모하는 현충일과도 연관성이 있는 날이란 점도 기억해야겠네요.
관련 포스팅
24절기는 음력 기준일까? 양력 기준일까?
농경사회 농사를 지을 때 유용했던 24절기는 양력이 기준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지을 때 유용했던 것으로 알려진 24절기는 달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는 음력일까요? 아니면 태양의 움직임을
ohisseu.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