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자 비를 멎게 해 달라는 기청제를 올린 시기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인 입추(立秋)의 무렵에는 농가의 벼가 한창 익어가는 시기로 햇볕이 필요해 날씨가 맑아야 할 시기인데요. 이에 입추(立秋) 무렵 비가 5일 이상 내리면 비를 멎게 해 달라는 기청제(祈晴祭)를 올렸다고 합니다.
입추, 벼의 생장 속도가 빨라 맑은 날씨를 원했던 시기
입추(立秋)는 24절기 중에 13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대서와 처서의 사이에 있으며 태양의 황경이 135도에 오는 8월 8일 무렵의 시기입니다. 이 무렵의 속담으로는 '입추 때는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 속담의 의미는 입추(立秋)에는 벼가 한창 자라는 시기이기 때문에 벼가 자라는 소리가 들릴 만큼 벼의 생장 속도가 빠르다는 얘기죠. 이처럼 이 시기는 곡식의 성장에 있어 중요한 시기로 우리 조상들은 입추의 날씨를 보고도 농사의 풍흉 여부를 예상하기도 했다 하는데요.
이 무렵 날씨가 맑으면 풍년이, 비가 조금 내리면 길하고 비가 많이 내리게 되면 벼가 상한다고 여겼으며 천둥이 치게 되면 벼 수확량이 적어지고 또 지진이 나면 이듬해 봄에는 소와 염소가 죽을 거라고 점쳤다고 합니다. 우리 조상들에게 있어서 벼농사는 정말 중요했기 때문에 이 시기의 날씨를 정말 중요시 여긴 걸로 보이죠. 따라서 조정이나 각 고을에서는 비가 5일 이상 계속 내릴 경우 비를 멎게 해달라고 비는 기청제(祈晴祭)를 올리며 맑은 날씨를 염원했다고 합니다.
한 여름 절정 더위를 보이는 입추
입추의 무렵에는 더운 날인 말복이 기다리고 있는데요. 입추는 말 그대로 가을이 시작이 되는 날로 대서와 더불어 한여름의 더위가 가장 최 절정의 시기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을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만큼 이무렵이 시원할 것이라고 착각을 하지만 실제로는 절정의 더위를 보이다 이후부터 선선해진다고 보면 되죠. 실제 이 시기가 지나면 밤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합니다.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입추 무렵 우리 농가는 본격적으로 가을 준비를 시작해야 했는데요. 이 시기 김장용 배추와 무를 심어 가을 준비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김매기도 끝나 농촌이 한가해지기 시작해 '어정 7월 건들 8월'이라는 말도 전해졌다고 하네요.
24절기 중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자 비를 멎게 해 달라는 기청제를 올리는 시기인 입추. 이 입추와 관련해 일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내용 중에 입추가 음력으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24절기는 음력이 아닌 양력이라는 점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관련 포스팅
24절기는 음력 기준일까? 양력 기준일까?
농경사회 농사를 지을 때 유용했던 24절기는 양력이 기준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지을 때 유용했던 것으로 알려진 24절기는 달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는 음력일까요? 아니면 태양의 움직임을
ohisseu.tistory.com